본문 바로가기
경제공부

2025년 기준중위소득 가구수 및 구간별 금액 정리

by 동구아비 2025. 2. 10.

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복지혜택이나 SH, LH 등 국민임대주택 등에 신청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내용이 당해연도 기준 중위소득 금액입니다.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금액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중위소득은 정부의 복지 정책에 중요한 기준이 되며, 각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.

 

2025년 기준중위소득 가구수 및 구간별 금액 정리

 

1. 2025년 기준 중위소득

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이미지출처 : 보건복지부

 

• 1인 가구 : 239만 2,013원

• 2인 가구 : 393만 1,688원

• 3인 가구 : 502만 5,353원

• 4인 가구 : 609만 7,773원

• 5인 가구 : 710만 8,192원

• 6인 가구 : 806만 4,805원

 

이 금액은 2024년 대비 6.42% 인상된 수치입니다.

 

2. 중위소득 구간별 금액

중위소득을 기준으로 50%, 75%, 100%, 150% 구간을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.

2025년 기준 중위소득
이미지출처 : 창원청년정보플랫폼

 

 

1인 가구

• 50% : 119만 6,007원

• 100% : 239만 2,013원

• 150% : 358만 8,020원

 

2인 가구

• 50% : 196만 6,329원

• 100% : 393만 2,658원
• 150% : 589만 8,987원

 

3인 가구

• 50% : 251만 2,677원

• 100% : 502만 5,353원

• 150% : 753만 8,030원

 

4인 가구

• 50% : 304만 8,887원

• 100% : 609만 7,773원

• 150% : 914만 6,660원

 

5인 가구

• 50% : 355만 4,096원

• 100% : 710만 8,192원

• 150% : 1,066만 2,288원

 

3. 중위소득의 중요성

중위소득은 정부의 복지 정책에 따라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의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 등 여러 복지 혜택이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. 중위소득이 상승하면 더 많은 국민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.

 

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각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며, 이를 통해 다양한 복지 정책이 운영됩니다.

 

같이 읽으면 도움 되는 글

 

 

2025년 연봉별 월 실수령액(2,000만원 ~ 10,000만원) 계산기

2025년 새해를 맞이하여 많은 직장인들이 연봉 인상을 경험하고 있습니다. 그러나 연봉이 인상됨에 따라 4대 보험의 납부액도 증가하게 되어 실수령액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. 오늘은

secondmoney10.tistory.com

 

 

국민연금, 개인사업자가 꼭 내야 할까? 절세 팁 공개!

개인사업자가 국민연금에 대해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. 개인사업자는 사업자등록을 하게 되면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하며, 이로 인해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국민연금

secondmoney10.tistory.com